[뉴스초점] 박진 외교부 장관, 북핵·미중갈등 등 국제현안 설명<br /><br /><br />오늘로써 윤석열 정부가, 출범 한달을 맞이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정부는 북한의 미사일과 핵 위협 등으로 한반도의 정세가 중대한 국면을 맞고 있고, 미중 갈등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, 글로벌 위기를 헤쳐나가야할 상황에 처해있습니다.<br /><br />이처럼 외교적으로 매우 중요한 시, 윤석열 정부의 초대 외교 사령탑을 맡은 모셨는데요.<br /><br />북한의 핵실험 가능성을 포함한 북한 문제, 주요 국제 현안에 대한 설명 직접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장관님 오서오십쇼.<br /><br /> 이제 취임을 하신지 한달을 맞게 됐습니다. 먼저 소감 부탁드립니다.<br /><br /> 곧바로 다음주 미국을 방문하는데, 주요 일정과 의제에 대한 설명을 부탁합니다.<br /><br /> 북한 핵실험이 임박했다는 평가가 잇따라 나오고 있는데요. 장관께서는 실제 핵실험 가능성을 어느 정도로 보시는지 궁금하구요. 핵실험을 단행하게 된다면, 시기는 언제쯤으로 보시는지 여쭙겠습니다.<br /><br /> 현재 한미 양국이 확장 억제력 강화 방안을 구상중 인걸로 알고있는데요.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들이 들어있는지 궁금합니다.<br /><br /> 현재 한미가 구상 중인 확장 억제력 강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해 줄수 있나요? 또한 북한 핵실험시 한미가 유엔 안보리와 총회에서 대북 추가 제재 검토키로 했는데 현실성 여부와 중국, 러시아의 보이콧 가능성은 어떤가요?<br /><br /> 중러가 반대할 경우 우리나라와 미국의 독자 제재 추진도 가능할까요?<br /><br /> 한미 정상회담 후속 조치 논의가 한창 진행중인 걸로 알고있습니다. 그 중에서 양국의 고위급 확장억제전략협의체(EDSCG) 재가동 시점과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(IPEF) 활동 개시 시점이 언제일지 관심을 모으고 있던데, 언제쯤으로 예상하십니까?<br /><br /> 우리 정부가 독자적인 인도태평양 전략을 수립 중이라고 알고 있는데, 언제쯤 구체화될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한미일 협력 강화와 한국의 IPEF 참여를 두고 중국이 이를 견제하는 분위기입니다. 한중 관계 어떻게 관리해 나갈 것인지와 북한 문제에 있어 중국 협조를 어떻게 이끌어낼 것인가요?<br /><br /> 지난달 한미정상회담 이후 답방 차원에서 조속히 미국서 다시 한미정상회담을 갖기로 했는데 시기는 어느 정도쯤으로 예상하나요?<br /><br /> 한일간 관계 개선 로드맵이 있을까요? 우리는 미래 지향 사업과 과거사 투트랙 전략을 구사하려지만 일본은 두 사안을 분리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여왔습니다. 이에 대한 입장은 어떻습니까?<br /><br /> 한일간 갈등 현안 중 강제징용 배상, 위안부 배상 문제는 물론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처리 문제가 평행선을 계속 이어가고 있는데요. 이에 대하 어떤 복안을 갖고 계십니까?<br /><br /> 러시아 침공을 받은 우크라이나 지원 방안에 대해 한미가 지속해서 협의 중입니다. 지금은 비살상용 무기와 인도주의 물품 위주로 지원중인데 무기 지원도 검토 중인가요? 우리가 캐나다, 폴란드로 전투용 무기 수출을 하고 있는데 이 무기가 우크라에 전달되는 상황은 어떻게 보시나요?<br /><br /> 이달말 스페인에서 나토 정상회담이 열립니다. 한미 정상으로는 처음으로 윤석열 대통령도 참석 할 예정인데요. 첫 참여에 대한 의미는 어떻고 우리가 그 회담에서 어떤 기여나 역할 할수 있을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